본문 바로가기
curiosity

칵테일에 도수는 어떻게 구할까?

by 바 느림 2024. 8. 15.

 

우리는 평소에 술집에 가면 하이볼, 칵테일, 소맥 등을 종종 마시기도 합니다. 마시다 보면 "내가 지금 마시고 있는 술의 도수가 어느 정도 될까?" 하는 호기심이 생기기도 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내가 마시고 있는 술의 도수를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볼까 합니다. 

 


 

알코올 도수에 계산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A1 x A2) + (B1 x B2) +... / A1 + B2 +... 여기서 A1은 A의 용량을 A2는 A의 도수를 의미합니다. B1은 B의 용량을 B2는 B의 도수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본다면 잭다니엘로 잭콕을 만들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잭콕을 잭다니엘 30ml, 콜라 90ml로 만들었다면 이 잭콕의 도수는 위에 공식을 사용하면 (30x40) + (90x0) / 30+90 = 10%로 잭콕의 도수는 10%가 됩니다.

 

 

 

 

하지만 위의 공식은 정확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우리가 먹는 술에는 다양한 변수가 존재합니다. 잭콕에는 사실 콜라와 잭다니엘만이 아닌 얼음도 들어가고 라임도 들어갑니다. 얼음에 양에 따라 도수가 다르고 라임도 들어가니 도수가 달라지겠죠. 또한 얼음을 넣고 몇 번 저엇느냐 차이에 도수가 달라지기도 합니다. 그래서 도수를 구하는 공식은 "정확히 도수를 구하겠어!!"보다는 내가 마시는 술은 이 정도의 도수겠구나 생각하는 정도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